유방암은 국내 여성에게 가장 많이 발병하는 암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1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여성 암 환자 가운데 21.5%가 유방암 환자로 집계돼, 여성 5명 중 1명이 유방암 진단을 받는 현실을 보여준다.
유방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고 자각이 어렵기 때문에, 많은 경우 유방촬영술이나 유방초음파와 같은 정기 건강검진을 통해 발견된다. 특히 최근에는 식습관의 서구화, 만성 스트레스, 환경 변화 등으로 인해 젊은 연령층에서도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어, 모든 연령대에서 예방과 조기 발견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유방암은 조기에 발견할수록 치료 예후가 좋다. 1기에서 치료를 시작할 경우 5년 생존율은 90%를 넘지만, 진단 시점이 늦어져 3기 이후로 진행되면 생존율은 70% 이하로 떨어진다. 특히 젊은 환자일수록 암의 성장이 빠르고 공격적인 양상을 보일 수 있어, 빠른 발견과 정확한 치료 계획이 생존율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정기 검진과 더불어 평소 자가 검진 습관을 기르는 것을 권장한다. 자가 검사는 생리 후 3~7일 사이, 유방 조직이 부드러워지는 시점에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방의 크기 변화, 비대칭, 피부 주름 또는 움푹 들어간 부위, 멍울 등의 이상 소견이 느껴질 경우에는 즉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하다.
신림성모유외과 박요한 원장은 “유방에서 느껴지는 멍울이나 덩어리가 모두 암은 아닙니다. 대부분은 섬유낭종, 섬유선종, 유방염 같은 양성 질환으로 진단된다”며, “자가 판단으로 불안에 빠지기보다는 의료진의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다”라고 강조했다.
박 원장은 이어 “양성 종양이라고 해도 크기가 빠르게 자라거나 통증을 유발할 경우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상태에 따라 수술적 제거가 고려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국가암검진 사업을 통해 40세 이상 여성은 2년에 한 번 유방촬영술을 무료로 받을 수 있으나, 한국 여성의 상당수가 ‘치밀 유방’에 해당하므로 유방초음파를 함께 시행하는 것이 검진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