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여성에게 가장 흔히 발생하는 암인 유방암은 해마다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2021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여성 암 환자 중 약 21.5%가 유방암 환자로, 여성 5명 중 1명꼴로 진단받는 셈이다.
문제는 유방암이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어 스스로 발견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다수의 환자들이 정기 건강검진 중 유방촬영술 또는 유방초음파를 통해 뒤늦게 발견하게 된다. 특히 젊은 연령층에서도 유방암 발병이 증가하고 있어 나이에 관계없이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는 서구화된 식습관, 스트레스, 환경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친 결과로 분석된다.
유방암은 조기에 발견할수록 치료 경과가 좋다. 1기 진단 시 5년 생존율은 90% 이상으로 매우 높은 반면, 3기 이상으로 진행된 경우 생존율은 70% 미만으로 크게 감소한다. 젊은 환자일수록 암의 진행 속도가 빠르고 악성도도 높을 수 있어, 더 빠르고 정확한 대응이 요구된다.
전문가들은 유방 건강 관리를 위해 정기 검진과 자가 검진을 병행할 것을 권고한다. 자가 검진은 생리 후 3~7일 사이, 유방이 가장 부드러운 시기에 시행하는 것이 좋다. 유방 크기나 형태의 변화, 피부 주름, 함몰, 멍울 등 이상이 느껴진다면 지체 없이 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강동유외과의원 이승구 원장은 “유방에서 멍울이 만져진다고 해서 모두 암은 아닙니다. 상당수는 섬유낭종, 섬유선종, 유방염 등 양성 질환으로 나타납니다”라며, “스스로 단정짓기보다는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라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양성 종양이라도 크기 증가나 통증이 있는 경우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때에 따라 수술적 제거를 고려해야 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현재 40세 이상 여성은 2년에 한 번 유방촬영술을 국가 검진으로 무료 제공받을 수 있지만, **한국 여성 대부분은 치밀 유방에 해당돼 촬영만으로는 정확도가 낮을 수 있다”며, 초음파 검사를 함께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