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통은 우리 일상에서 가장 흔히 경험하는 신경과 증상 중 하나다. 하지만 대부분은 단순히 ‘피곤해서 그렇겠지’ 하고 넘기기 쉽다. 그러나 두통은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 심각한 뇌질환의 신호일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두통은 크게 1차성 두통과 2차성 두통으로 나뉜다. 1차성 두통은 특별한 기저질환 없이 발생하며, 대표적으로 긴장형 두통, 편두통, 군발두통이 있다. 긴장형 두통은 머리를 띠로 조이는 듯한 양상의 통증이 특징이며, 스트레스와 자세 불균형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편두통은 한쪽 머리에 맥박이 뛰듯 아픈 것이 특징으로, 빛·소리·냄새에 민감해지거나 구토가 동반된다. 군발두통은 눈 주위에 극심한 통증이 주기적으로 발생해 환자에게 ‘자살 두통’이라 불릴 만큼 고통스럽다.
반면 2차성 두통은 뇌혈관 질환, 뇌종양, 뇌염 등 기저질환이 원인이다. 따라서 기존에 없던 새로운 양상의 두통이 나타나거나, 점점 악화되는 양상을 보인다면 반드시 전문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신경과에서는 병력 청취, 신경학적 검사, 필요 시 뇌 MRI나 CT 등을 통해 원인을 규명한다. 치료는 두통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약물 치료와 생활습관 교정이 병행된다. 긴장형 두통은 스트레스 관리와 바른 자세, 편두통은 트립탄 계열 약물과 예방약, 군발두통은 산소 흡입이나 특수 약제를 활용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충분한 수면, 규칙적인 식사, 과도한 카페인·음주 피하기, 꾸준한 운동이 도움이 된다. 두통 일기를 작성하여 발생 시점·양상·유발 요인을 기록하면 치료 전략 수립에 효과적이다.
결국 두통은 단순히 참을 문제가 아니라, 정확한 진단과 관리로 충분히 조절 가능한 질환이다. 신경과 전문의의 도움을 통해 생활 속 두통 부담을 줄이고 건강한 일상을 되찾는 것이 중요하다.
부평두드림신경과 송창석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