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지럼증은 신경과 외래를 찾는 환자들이 흔히 호소하는 증상 중 하나다. 단순히 ‘어지럽다’라는 한마디로 표현되지만, 실제로는 빙빙 도는 느낌, 머리가 붕 뜬 듯한 감각, 균형을 잃는 느낌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그만큼 원인 또한 단순하지 않으며, 정확한 구분과 진단이 필수적이다.
인천두드림신경과 송창석원장은 '의학적으로 어지럼증은 크게 말초성 현훈과 중추성 현훈으로 나눈다. 말초성은 귀 속 전정기관의 문제에서 비롯되며, 대표적으로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BPPV), 메니에르병, 전정신경염이 있다'고 했다. 반면 중추성 현훈은 뇌간, 소뇌, 뇌혈관 질환 등 중추신경계 이상에서 발생한다. 어지럼증과 함께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된다면 중추성일 가능성이 높아 신속한 검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가장 흔한 원인인 BPPV는 고개를 돌리거나 자세를 바꿀 때 짧게 발생하는 어지럼으로, 귀 속 이석이 제자리를 벗어나 생긴다. 비교적 간단한 체위 교정술로 치료할 수 있으나 재발이 흔하다. 메니에르병은 귀의 내림프액 이상으로 생기며, 어지럼과 함께 난청·이명이 동반된다. 전정신경염은 바이러스 감염 이후 수일간 지속되는 강한 어지럼을 유발한다.
중추성 원인 중 소뇌경색은 어지럼과 보행장애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빠른 영상검사가 예후를 결정한다. 따라서 어지럼증이 단순히 피곤 때문인지, 혹은 뇌질환 신호인지 감별하는 것이 신경과 진료의 핵심이다.
신경과에서는 병력 청취, 신체검사, 전정기능검사, 뇌 MRI 등을 통해 원인을 찾는다. 치료는 원인별로 다르며, 생활습관 관리도 중요하다. 충분한 수면, 규칙적 운동, 과음·과로 피하기, 체위 변화 시 주의하기 등이 도움이 된다.
어지럼증은 흔하지만 그 속에 숨어 있는 원인은 다양하다. 반복되거나 새로운 양상의 어지럼이 생긴다면, 조기에 신경과 진료를 받아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